당시 전북은 도민들의 염원이던 새만금 국제공항 건립사업(8000억)과 상용차산업혁신사업(2000억)이 통과되는 쾌거를 거뒀으나 규모면에서 아쉬움이 남았다. 정부가 혜택을 부여한 예타 면제 사업규모가 전국적으로 24조1000억 원에 달한 반면 전북은 이중 1조 원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예타 면제에선 경기도나 부·울·경,국가균형발전예타면제금액조원중전북몫은조뿐금 투자 시기 충청 등 전북보다 상대적으로 경제규모가 큰 지역의 예타 면제 규모가 더 컸다. 상대적으로 낙후된 도시의 사업 경제성이 떨어지는 만큼 예타 면제를 통해 균형을 맞추겠다는 국가균형발전 취지와 어긋나는 결과다.
실제 경기도와 충청 등 수도권 인접지역은 평택~오송 복복선화 사업(3조1000억)과 세종~청주 고속도로(8000억), 충북선 고속화(1조5000억), 제2경춘 국도(9000억), 도봉산 포천선(1조), 도시철도 2호선 트램(7000억) 등의 사업 예타가 면제됐다.
경북과 경남을 잇는 남북내륙철도(4조7000억)의 경우 단일사업으로만 전북 전체 예타면제 규모의 4배 이상 달하는 초대형 사업이다.
반면 전북의 경우 15년 이상 표류 중인 부창대교 건설사업 등이 예타에 막혀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각종 인프라가 풍부한 수도권과 달리 전북처럼 열악한 지역의 사업은 경제성 평가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다”면서 “낙후지역에 대한 균형발전 평가 비중을 단순히 경제논리에 맡기지 말고 적극적으로 면제를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한 바 있다.